본문 바로가기
리뷰일기/강의

[마케팅] 10배 더 실전적인 브랜드콘서트 (브랜드 & 카테고리전략) 수강 후기(현장참석) - 아수라백작 정명렬소장

by 다큐멘토 2015. 9. 19.
반응형

 2015년 9월 18일 강남 CNN비즈에서 있었던 아수라백작 정명렬소장의 브랜드 트리구조와 꼭 알아야하는 카테고리전략에 대한 특강에 참석하였다.

며칠전 온오프믹스에서 강의 검색중 눈에 띄어서 바로 신청하였다.

무료라고 되어 있어서 흔히 볼 수 있는 정규강의전에 열리는 강의라고 생각을 하였는데 그게 아니라 9월부터 마케팅강의를 무료료 진행한다고 한다. 이번주 일요일과 다음주 목요일에도 다른 주제로 한 특강이 있어서 동시에 신청하였다.

 

 

저녁 8시부터 9시 30분까지 강의가 진행되었는데 시간 가는줄 모르고 강의에 집중했다. 직접 컨설팅한 사례와 각종 예시를 들어가면서 강의를 하셔서 재미있게 들었던 거 같다.

 

브랜드에 대한 강의 중 간략하게 떠오르는것을 정리하자면,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 컨셉, 브랜드 이미지가 무엇이냐고 물어보면 막상 대답하기가 쉽지 않은데, 다른 사람들과 구분되는 특징을 브랜드 아이덴티티라고 한다면 구체적이고 확실하게 만든 것이 브랜드 컨셉이다. 

초등학교 친구를 떠올려보자. 달리기를 잘하는 친구가 있다. 그 친구는 발이 남보다 10cm는 더 길고 100m를 10초에 뛴다. 다른 친구들보다 달리기를 잘한다고 하는 것이 브랜드 아이덴티티라고 한다면 (추상적이고 범위가 넓다) 구체적으로 100m를 10초에 뛴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 브랜드 컨셉이다. 그래서 그 친구는 어떤거 같다라고 머릿속에 떠오르고 느껴지는게 브랜드 이미지다.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있어야 브랜드 컨셉을 말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브랜드 이미지가 만들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먼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정립하고 브랜드 네이밍과 디자인을 하면서 브랜드를 제작하게 되는데, 어느 정도 진행 후 브랜드 리서치와 브랜드 매니지먼트를 통해서 브랜드 컨셉을 강화해야 될 필요성이 있다. 강화된 브랜드 컨셉은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준다.

.

.

기존 시장에 진입을 해서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 시장에 없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만들어야할 필요성이 있다. '죽' 시장을 예로  든다면 기존 '죽'시장에 없는 - 단지 양을 많이 주고, 가격을 더 저렴하게 한다거나 다른 맛의 죽을 개발하는 것이 아닌 - 밥에 비벼 먹을 수 있는 죽이나 짬짜죽같은 새로운 개념의 죽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케아가 기존 국내 가구 시장에 없었던 새로운 개념의 DIY 가구를 들고 나오면서 국내 가구시장을 점유해 나간 사례가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1시간 30분 강의 중 일부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는데 강의를 듣고 다시 정리한다는 것이 쉽지는 않지만 강의를 듣고 빠른 시간안에 다시 상기하면서 기억에 좀 더 오래 남을 수 있게 하고 지금 하고 있는 일에 어떻게 하면 접목을 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다.

반응형

댓글